본문 바로가기
  • Tungh's
  • Tungh's

텅's 후기/공연&전시28

AI, 로봇, 머신비전까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방문기 코엑스서울 강남구 영동대로 5132025년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5'에 다녀왔다. 관련 업계에 종사한 후로는 매년 관람을 하고 오는데 공장 자동화와 스마트 제조 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행사로 제조업 종사자뿐만 아니라 일반 참관객들에게도 다양한 경험을 제공한다.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은 아래와 같이 다양한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다.aimex: 센서, PLC, DCS, 모션컨트롤, 산업용 PC, 드라이브, FA 시스템, 자동화 부품 등Korea Vision Show: 산업용 카메라, 렌즈 및 조명, 영상처리 소프트웨어 등Smart Factory Expo: 디지털 팩토리, 빅데이터, AI, .. 2025. 3. 16.
[서울] 사진이 주는 울림 :: 퓰리처상 사진전 예술의전당 한가람디자인미술관서울 서초구 남부순환로 2406  지난 주말, 얼리버드로 구매한 퓰리처상 사진전을 관람하기 위해 예술의전당에 다녀왔다. 예술의전당에서 하는 전시회는 회사가 근처에 있어서 주로 퇴근 후에 다녀오는 편인데 주말 관람은 경험이 적어서 사람이 얼마나 많을지 조금 걱정이 되었다.퓰리처상 사진전은 예술의전당 한가람디자인미술관에서 전시 중이었는데 해당 전시관은 첫 방문이었다. 주로 한가람미술관에서 열리는 전시를 관람했었는데 현재 한가람미술관에서는 불멸의 화가 반 고흐 전시회가 진행중이었다. 전시장에 입장할 때까지만 해도 입구에 사람이 많지 않았다. 그래서 다들 반 고흐 전시회를 보는구나 싶어 편안하게 관람하려고 했다. 하지만 전시회를 관람하기 위해 내부로 들어선 순간 고등학교 급식시간에 급.. 2025. 3. 5.
[서울] 김이 이븐하게 구워졌던 제 1회 전남 세계 김밥축제 후기 김밥을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가슴 떨리는 페스티벌인 2024 전남 세계 김밥 페스티벌에 다녀왔다. 여의도에서 열린 세계 김밥 페스티벌은 지난 10월에 열린 김천 김밥 축제에 다녀오고 싶었으나 그러지 못한 나의 아쉬운 마음을 달랠 수 있는 시간이었다.여의도 한강공원 이벤트 광장에서 열린 세계 김밥 페스티벌은 여의나루역 2번 출구에서 내리자마자 만날 수 있었다. 이번 전남 세계 김밥 페스티벌은 전남 김의 우수성을 시계적으로 알리고, 전남의 22개 도시군의 특산물을 활용한 특화 김밥을 맛볼 수 있다고 한다.먼저 페스티벌의 시작은 플리마켓존으로 김밥 관련된 굿즈와 다양한 물건들을 판매하는 부스들이 모여있었다.플리마켓을 구경하던 중 평소에 김밥 정보를 얻는 대한민국 김밥 홍보대사인 정다현(@gimbapzip)님 .. 2024. 11. 9.
[서울] 가볍게 관람하기 좋은 전시회 :: 이경준 사진전 원 스텝 어웨이 그라운드시소 센트럴서울 중구 세종대로 14 그랜드센트럴 3F  예전에 티켓을 구매했다가 사용 가능 날짜를 잘못 알아서 만료되고 다시 구매해서 다녀온 이경준 사진전: 원 스텝 어웨이. 서울역 근처에 위치해있어서 방문하기도 편했고 전시회 종료 일자가 가까워서 얼른 다녀왔다.한참 인기가 많을 땐 사람이 많다고 해서 걱정되어 9시 50분쯤 도착했는데 아무도 없었다. 전시회 종료일에 가까워져서 그런 것 같았다.왼쪽 사진 뒤편에 물품 보관함이 있어서 이날 우산을 들고 갔던 터라 보관 후 편하게 전시를 관람할 수 있었다. 또, 좋아하는 가수 죠지가 직접 오디오 가이드를 해주는 무료 서비도 VIBE에서 들을 수 있었다. 왜 죠지일까? 이건 전시회를 보면 알 수 있다! 10시 정각에 입장할 수 있었고, 주변 사람들 평이.. 2024. 9. 15.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전시 에드바르 뭉크 :: 비욘드 더 스크림 한가람미술관주소: 서울 서초구 남부순환로 2406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운영 시간: 10:00 - 19:00 (매주 월요일 휴관, 입장 마감 18:10)어느 날 인스타그램으로 레퍼런스들을 수집하던 중 우연하게 발견한 에드바르 뭉크 전시회. 얼리버드 티켓으로 예약했는데 선택한 날짜 당일에만 사용 가능하다고 해서 퇴근 후에 다녀왔다. 회사가 서초역에 있어서 장점 중 하나는 예술의 전당이 무척 가깝다는 점?이날 오후에 일이 있어서 마감시간보다 1, 2분 늦게 도착했는데 정말 다행히도 입장할 수 있었다. 못 들어갔으면 정말 눈물을 흘리면서 집에 갔겠지? 물론 50분의 관람 시간은 개인적으로 많이 부족했고 특히 굿즈샵도 19시 마감이었기 때문에 전시회 관람 후 항상 엽서를 구매하는 나에게는 너무나 부족한 시간이었.. 2024. 6. 11.
[마이아트뮤지엄] 스웨덴 국립미술관 컬렉션 전시회 :: 새벽부터 황혼까지 마이아트뮤지엄주소: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518 섬유센터빌딩 B1층운영 시간: 매일 10:00 - 19:40 (공휴일 정상개관, 입장마감 19시)  예전 밀리에서 방구석 미술관이라는 책을 읽은 후로 미술 작품에도 꽤 관심이 생겨서 기회가 되면 찾아보고 있는데 '새벽부터 황혼까지' 전시회를 발견하고 바로 다녀오게 되었다. 이날 카메라로 사진을 담으려고 했으나, 스마트폰 촬영만 가능하다고 해서 물품 보관함에 가방을 보관했다. 비용은 2시간에 1,000원이고 이후 30분 당 500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 '새벽부터 황혼까지' 스웨덴 국립미술관 컬렉션 전시회는 스웨덴 국립미술관과 마이아트뮤지엄이 공동 기획한 특별 전시로, 대한민국-스웨덴 수교 65주년을 기념하여 한국에서 최대 규모로 스칸디나비아 예술을 소개.. 2024. 5. 18.
따듯했던 추억, 우리의 일상이 담긴 사진전 :: 어노니머스 프로젝트 이제는 부산에서 열릴 어노니머스 프로젝트. 작년 초에 다녀왔었는데 이제서야 올리는 전시회 후기. 어노니머스 프로젝트 그라운드시소 서촌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6길 18-8) 어노니머스 프로젝트는 리 슐만이 우연히 필름 슬라이드 한 상자를 구매한 것을 계기로 2017년부터 시작했다고 한다. 슬라이드 프레임을 들여다보자마자 과거라는 시간 속에 담긴 이들의 이야기와 사랑에 빠졌다고 하는데, 전시도 우리 어릴 적 필름 카메라로 찍은 사진을 보며 드는 느낌을 담은 전시라고 한다. 리 슐만은 이후 1940~1980년대 컬러 필름 슬라이드를 80만 장 정도 수집했다고 한다. 처음에 입장했을 때, 슬라이드 필름을 볼 수 있는 공간이 있었다. 마치 우리가 평소에 찍을만한 사진들이 전시되어 있어서 구경하는 재미가 있었다. .. 2024. 4. 14.
가볍게 관람한 워너브라더스 100주년 특별전 후기 미루고 미뤘던 워너브라더스 100주년 특별전에 다녀왔다. 3월 31일까지라고 해서 금요일에 일찍 퇴근 후 방문했는데 다행히 사람은 별로 없었다. 또, 생각보다 외국인 관람객도 많았다. DDP에 놀러 왔다가 전시회가 있어서 방문한 것 같기도 하다. 관람요금이 성인 2만 원이었으나, 작년 12월에 할인받아 13500원에 구매해 약 4개월 묵은 티켓을 사용했다. 뒤편엔 럭키드로우를 할 수 있는 장소도 마련되어 있었다. 처음 입장하면 워너브라더스의 히스토리에 대한 공간이 있었다. 워너브라더스의 상징인 물탱크도 있었는데 왜 유명할까 찾아보니 실제 스튜디오에 있는 물탱크라고 한다. 로고 변천사. 첫 워너브라더스의 로고에는 당시 스튜디오 건물의 외관 사진이 삽입되어 있다. 1972 - 1990년에는 대체 무슨 일이 .. 2024. 4. 2.
포트레이트의 거장, 알버트 왓슨 사진전 올해 첫 사진전으로 다녀온 알버트 왓슨 사진전. 방문하기 전에 검색했을 땐 주로 인물사진 위주여서 큰 관심이 없다가 회사와 가까워서 다녀왔다. 이번 알버트 왓슨 전시회는 아시아에서 열린 첫 메이저 전시회라고 한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알버트 왓슨의 사진 총 125점을 감상할 수 있다고 한다. 알버트 왓슨 사진전 관람 시간 : 10:00 ~ 19:00 (입장 마감 18:00) 전시 기간 : 2022.12.08 ~ 2023.03.30 (매주 월요일 휴관) 전시 장소 :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2층 제3・4전시실 알버트 왓슨 사진전은 LA로 간 스코틀랜드인, 히치콕, 왓슨 연대기, +19, 비하인드 더 씬, 왓슨 스튜디오, 디지털 런웨이로 총 7개의 섹션으로 나뉘어져있다. '포트레이트의 거장', '사진작가 중.. 2023. 2. 12.